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알뜰폰에 대한 모든 것(필요한 사람, 필요없는 사람 분류)

by 구룩구 2023. 7. 7.
반응형

필자는 약 1년 넘게 알뜰폰을 사용했습니다. 그동안 느꼈던 점이나 어느 사람이 필요한지 아니면 어느 사람은 알뜰폰에 맞지 않은지 한번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글을 보면서 나도 알뜰폰으로 바꿔봐야겠다는 생각이 드셨으면 좋겠습니다.

 

1. 알뜰폰의 정의

 

이 글을 보고 있으신 분들은 알 거라고 생각하지만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알뜰폰이란 따로 알뜰폰이라는 하드웨어(hadrware)적인 핸드폰이 아니라 기존의 통신 3사(SK, KT, LGU PLUS)가 아닌 그들의 통신회선을 빌려와서 고객에게 제공하는 통신사에서 만든 요금제를 뜻합니다. 
매우 싼 가격(대략 50%이상)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어서 몇 년 전부터 엄청 입소문으로 날리기도 했습니다.

예전에는 50~60대 이상인 분들의 효도폰 개념으로 많이 사용 하였지만 요즘은 20~30대의 가입수도 엄청나다고 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4월 알뜰폰 가입자가 1389만명이상이라고 합니다.
국내 이통신 서비스 시장의 18%에 달하는 사람들이 알뜰폰 사용자입니다.

2. 알뜰폰의 가격대

 

기한이 한시적이지만 자주 보이는 무려 0원 요금제부터 전화, 문자, 데이터 전체 무료인 요금제가 통신사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3만 원대로 매우 싸게 이용가능합니다. 정확한 요금은 맨 밑에 이달의 알뜰 요금제 추천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알뜰폰이 맞는 사람

 

1) 통신3사와의 약정이 끝난 사람

일반적으로는 통신사 대리점에서 약정(2~4년)을 하면서 고가의 최신 핸드폰을 개통합니다.(아니면 자급제폰을 구입할 수도 있겠죠.)

그래서 핸드폰이 부서지거나 분실한다든지의 경우가 아니면 위약금을 내면서까지 다른 통신사로 가는 경우는 많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정이 다 끝난 경우 기존 통신사와의 재계약이 아닌 알뜰폰으로 갈아탈 수 있습니다.

 

2) 통신요금을 낮추고 싶은 사람

기존의 통신요금을 내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핸드폰을 일시불로 사지 않는 이상 핸드폰 기기비용에 통신비용까지 더해서 10만 원 이상 내고 계신 분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알뜰폰으로 가입하게 되면( 방금 말씀드렸던 사람이 아닌 약정이 남아있거나 기기요금이 남아 있는 경우는 위약금이나 남은 기기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7개월간 최저 0원 요금에 전화 300분, 문자 무제한, 데이터 7GB(다 쓴 경우는 1mb로 사용가능)로 사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약정이 없기 때문에 쓰다가 다른 곳으로 바로 변경도 가능합니다. 즉 6개월 쓰고 다른 알뜰폰통신사 0원 요금제에 가입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유심요금(보통 5000원내외)으로 6개월간은 공짜로 핸드폰 사용이 가능합니다.

 

4. 알뜰폰이 맞지 않는 사람

 

1) 핸드폰을 대리점에서 자주 바꾸는 사람

 

일시불로 핸드폰을 사는 것(삼성디지털프라자, lg베스트샵, 전자랜드, 인터넷 등등)이 아닌 대리점에서 보조금을 받는 것을 원하시는 분은 약정이 걸리기 때문에 알뜰폰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고객센터 연결이 자주 필요한 사람

 

고객센터 연결이 저 같은 경우는 거의 필요없었지만 고객센터와 연결을 해야 되는 경우에 좀 답답할수 있습니다. 여러 알뜰 통신사가 있지만 잘 안되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3) 가족과 함께 결합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

 

알뜰폰도 결합요금제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가족들과 함께 결합으로 요금제를 신청했을경우 통신3사에 비해 할인이 떨어질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이케아(IKEA) 탐방기  (5) 2020.06.02
유튜브채널추천 -반려견편-  (4) 2020.05.18
금붕어 테스트라고 아시나요?  (2) 2020.05.17